검색결과 리스트
프라울러에 해당되는 글 1건
- 2012.07.29 [전술전자기] EA-6B 프라울러 제원
글
[전술전자기] EA-6B 프라울러 제원
**전자전 지원기 EA-6B 프라울러 제원**
개발배경
베트남전 초기, 전자전 항공기의 부족에 시달리던 미 해군과 해병대는 구식 기체인 EA-1F와 EF-10B까지 동원하여 공격기를 지원하는 실정이었다. 그리하여 EKA-6B, EA-6A를 급히 개발하여 투입하게 되었다.
특징
EA-6B는 1956년 개발하기 시작한 본격적인 전술전자전 지원기로, 장거리 전천후 운용능력과 함께 강력한 전자전 능력을 지니고 있다. A-6의 전방 동체를 1.37m 연장하여 좌석 4개를 반들고 수직미익 위에 수신용 안테나 페어링을 장착했다.
EA-6B의 전자장비 중 핵심장비는 AN/ALQ-99 TJS (전술방해 시스템)로 기내에 수신 시스템, 분석 컴퓨터를 탑재하고 재밍 발신 장치는 기외 포드로 최대 5개까지 기외 탑재가 가능하다. 또한 AN/APR-27 RHAW, AN/APR-42 EAM, AN/ALQ-92 통신재머도 탑재한다.
A-6A를 개조한 프로토타입 3호기는 1968년에 완성했으며, 양산형은 1971년 1월에 미 해군에 인도를 시작하여 베트남전 말기 실전에 투입했다. 1991년 7월, 최종 183호기(164403)를 미 해군에 인도함으로써 생산을 종료했다.
미 해군은 최전성기 때 16개 비행대(VAQ, 예비역 2개 비행대 포함)를 편성하여 각 항모비행단에 4대씩 고정 배치했으나 군축에 따라 배치수를 줄였다. 또한 미 공군은 전자전기인 EF-111A가 퇴역함에 따라 공군과 연합작전을 수행하는 VMAQ를 보유하고 있으며 항모에도 파견하고 있다.
EA-6B의 전자전장비는 초기의 스탠더드형으로부터 EXCAP, ICAP-1/2로 점차 성능을 향상시켰으며, ICAP-2 블록 89A 개수까지 완료했다. ICAP-3 업그레이드는 ALQ-218 온보드 리시버(Onboard Receiver)로 교체하고 MFIDS(Multi-Functional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)을 장착하는 등 기체의 능력을 향상시키는 사업으로 2010년까지 실시되었다. ICAP-3 기체는 2003년 저율 생산을 시작하여 2006년 초도작전능력을 인정받았다.
성능재원
EA-6B ICAP-3
형식 : 쌍발 터보팬 전자전 지원기
전폭 : 15.9m
전장 : 17.7m
전고 : 4.9m
주익면적 : 49.1m''
자체중량 : 15,450kg
최대이륙중량 : 27,500kg
엔진 : PW J52-P408A 터보팬 (10,400 파운드) × 2
최대속도 : 920km/h
실용상승한도 : 37,600 피트
최대항속거리 : 1,840km
승무원 : 4명(조종사 1명 + ECM 관제사 3명)
무장
AGM-88 HARM × 4
ALQ-99 TJS 포드 × 5
항전장비
ALQ-218 OBS
USQ-113 통신 재머
APR-42 EAM
APR-27 RHAW
운용현황
현재 약 120여 대의 EA-6B 프라울러를 운용 중인데, 해군이 12개, 해병대가 4개 비행대대를 운용하고 있으며, 해군/공군 연합 원정비행대대가 4개 비행대대를 운용 중이다. 그러나 2009년부터 EA-6B 프라울러를 EA-18G 그라울러로 교체하고 있다.
출처 : 군용기 연감
사진출처 : google.com
'2012 포스팅 자료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훈련기] T-50 골든 이글 제원 (0) | 2012.07.29 |
---|---|
[훈련기] KT-1 웅비 제원 (0) | 2012.07.29 |
[수송기] C-130 허큘러스 제원 (0) | 2012.07.29 |
[전술전자기] EA-6B 프라울러 제원 (0) | 2012.07.29 |
[조기경보기] E-2 호크아이 제원 (0) | 2012.07.29 |
[전자공격기] EA-18G 그라울러 제원 (0) | 2012.07.29 |
[공중급유기] KC-46A/767 제원 (0) | 2012.07.29 |
[피스아이] E-737 AEW&C 제원 (0) | 2012.07.29 |